맨위로가기

장 폴 사르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폴 사르트르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극작가, 평론가로, 20세기 실존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1905년 파리에서 태어나 1980년 사망했으며,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명제를 통해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했다. 주요 저서로는 소설 《구토》, 철학서 《존재와 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그리고 희곡 《닫힌 방》 등이 있다. 그는 지식인의 사회 참여를 강조하며, 앙가주망(engagement) 개념을 제시했다. 196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거부했다. 그의 사상은 한국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해군 군인 - 올리비에 그루너
    올리비에 그루너는 프랑스 출신 배우이자 킥복싱 선수, 영화 감독, 제작자, 각본가로, 1980년대 킥복싱 선수로 활동하며 1990년대부터 액션 영화에 출연하여 액션 스타로 이름을 알렸고 2000년대 이후에는 영화 감독 및 제작자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 프랑스의 시각 장애인 - 루이 브라유
    루이 브라유는 프랑스의 발명가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6점식 점자 체계를 개발하여 시각 장애인 교육에 크게 기여했으며, 점자 악보 및 수학 기호 체계도 개발했다.
  • 알베르 카뮈 - 장 그르니에
    장 그르니에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 예술 평론가로, 알베르 카뮈와의 우정을 통해 카뮈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철학, 문학,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1968년 문학 대국민상을 수상했다.
  • 알베르 카뮈 - 마리아 카자레스
    스페인 내전으로 프랑스로 망명한 마리아 카자레스는 프랑스에서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천국의 아이들》, 《오르페》 등의 영화와 연극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장 빌라르와 함께 프랑스 연극계에 큰 족적을 남긴 프랑스 배우이다.
장 폴 사르트르
기본 정보
1967년 사르트르
1967년 사르트르
본명장폴 샤를 에마르 사르트르
출생일1905년 6월 21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일1980년 4월 15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장폴 사르트르 서명
장폴 사르트르 서명
철학적 배경
지역서양 철학
시대20세기 철학
학파대륙 철학
실존주의
현상학
실존적 현상학
해석학
서구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아나코-파시피즘
주요 관심사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의식
자아의식
문학
정치 철학
존재론
주요 사상악한 신념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지옥은 타인이다
상황
자아의 초월 ("대상에 대한 모든 위치 의식은 그 자체의 비위치 의식이다")
사르트르 용어사르트르 용어
교육
교육 기관고등사범학교 (BA, MA)
개인 정보
파트너시몬 드 보부아르 (1929–1980)
수상
수상 내역노벨 문학상 (1964년, 거절)

2. 생애

장 폴 사르트르는 소설, 수필, 연극, 철학 저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철학은 전후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알베르 카뮈와 함께 참여 지식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1941년 레지스탕스에 참여한 이후[105]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사르트르는 꾸준히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사르트르는 동시대의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정의롭다고 생각하는 모든 입장을 열렬히 지지했다. 그의 삶은 제2차 세계 대전을 기점으로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존재와 무(1943)에서 보여준 존재론 중심의 이론적 철학 접근과, 변증법적 이성 비판(1960)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적용하려 한 실천적 시기이다.

사르트르는 1905년 파리 16구에서 태어났다. 생후 15개월에 해군 장교였던 아버지가 급성 열병으로 사망하자, 외조부 샤를 슈바이처[92]의 므동 집에서 자랐다.[93] 독일어 교수였던 외조부는 사르트르의 학문적 탐구심을 크게 자극했으며, 3세 때 오른쪽 눈을 거의 실명하여 고도의 사시를 겪게 된 사르트르의 삶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23년, 고등사범학교 입학을 준비하며 동인지 「제목 없는 잡지」에 단편소설 『병든 자의 천사』를 발표했다.

1929년, 평생의 동반자 시몬 드 보부아르와 2년 계약 결혼을 맺었다. 이 결혼은 서로의 자유 연애를 보장하는 전위적인 형태였지만, 여러 풍파 속에서도 사르트르가 사망할 때까지 50년 이상 지속되었다.[96]

1938년, 소설 구토를 출판하여 명성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징병되어 1940년 포로가 되었으나, 1941년 위조 신체장애 증명서로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이 시기 희곡 벌리오나를 집필했다.

1943년, 주저 존재와 무를 출판했다. 1945년 보부아르, 모리스 메를로 퐁티 등과 함께 잡지 르 탕 모던을 창간, 평론, 소설, 극작을 통해 전후 실존주의를 전 세계에 알렸다.

1952년 알베르 카뮈와 『반항하는 인간』에 대한 비판을 계기로 논쟁(「카뮈=사르트르 논쟁」)을 벌였고, 이로 인해 두 사람은 결별했다.[97]

1955년 베이징에서 시몬 드 보부아르와 장 폴 사르트르


몽파르나스 묘지에 있는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묘


196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작가는 자신을 살아있는 제도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수상을 거부하고 시상식에 불참했다.[98] 미리 노벨 위원회에 사퇴 서한을 보냈지만, 늦게 도착하여 수상 결정 후 사퇴하게 되었다.[99]

1973년 베니 레비, 세르주 쥘리와 함께 좌파 일간지 리베라시옹을 창간했다.[102] 같은 해, 격렬한 발작과 왼쪽 눈의 안저 출혈로 양쪽 눈 모두 실명하게 되었지만, 빛, 사물의 형태, 색깔은 인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실명으로 귀스타브 플로베르 연구(『집의 바보 아들』) 완성이 불가능해졌고, 보부아르와의 대화 녹음을 시작했다.

1980년 폐부종으로 74세에 사망, 약 5만 명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유해는 파리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 보부아르와 양녀 아르레트 엘카임의 편집으로 많은 저서가 출판되었다.

2. 1. 유년기와 성장

장 폴 샤를 에마르 사르트르는 1905년 6월 21일 파리 16구에 있는 외조부 집에서 태어났다.[7] 그는 부르주아 가문의 외동 아들로, 어머니는 알자스 출신의 지식인 가문인 슈바이처 가문 출신이었다. (그녀는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사촌이다.)[107] 그의 아버지 장바티스트 사르트르는 프랑스 해군 장교였다.

어린 사르트르는 생후 15개월 만에 인도차이나 전쟁 후유증인 열병으로 사망한 아버지를 거의 알지 못했다.[93] 어머니는 메동에 있는 친정으로 돌아와 독일어 교사였던 아버지 샤를 슈바이처의 도움을 받으며 사르트르를 키웠다. 샤를 슈바이처는 사르트르에게 수학을 가르치고 매우 어린 나이에 고전 문학을 소개했다.[8] 그는 사르트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인 10살까지 그를 가르쳤으며, 아버지 역할을 하였다.

사르트르는 훗날 자서전에서 선천적인 근시사시로 인해 어린 시절 심리적 부담을 겪었다고 밝혔다. 그는 오른쪽 눈의 시력이 좋지 않아(감각적 사시) 괴롭힘을 자주 당했다.[9] 하지만 외할아버지의 깊은 교양은 사르트르의 학문적 탐구심을 크게 자극하였다.

2. 2. 학창 시절과 만남

1915년 프랑스 파리의 명문 리세인 앙리 4세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이때, 훗날 작가가 되는 폴 니장(1905-1940)을 만났다. 어머니의 재혼[94]으로 1917년 라 로셸의 리세(고등학교)로 전학했지만, 사르트르는 라 로셸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좌절의 세월을 보냈다고 회상했다. 1920년 앙리 4세 고등학교로 다시 전학하여 니장과 재회했다. 1922년 앙리 4세 고등학교에서 리세 루이 르 그랑의 고등사범학교 예비 학급으로 전학했다.[95]

1924년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에 입학하여 모리스 메를로 퐁티를 만났다. 1927년 니장과 함께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 프랑스어 번역본을 교정했다.

1928년 아그레가시옹(1급 교원 자격)(철학) 시험에 불합격했다. 이듬해 아그레가시옹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했다. 니장도 1929년 합격했다(철학). 같은 해 시험 차석(철학)은 평생의 동반자가 될 시몬 드 보부아르였으며, 1929년 2년 계약 결혼을 맺었다.[96]

2. 3. 교직 생활과 문학 활동

1931년, 르 아브르의 리세(고등학교) 철학과 교사가 되었다. 20페이지 분량의 「진리 전설」을 집필했지만, 지식만으로 서술되어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출판이 거절되었다. 1933년부터 1934년까지 베를린에 유학하여 에드문트 후설현상학을 연구했다.[96]

1935년, 친구였던 의사 라가슈에게 메스칼린 주사를 맞고 상상력에 대한 실험을 했다. 이때 온몸을 게와 문어가 기어 다니는 환각을 겪었고, 이후 반년 이상 환각을 동반한 우울증 증세로 괴로워했다. 갑각류에 대한 공포는 평생 지속되었다.[96]

레이몽 아롱과의 대화를 통해 현상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박사 논문 『후설 현상학의 직관 이론』을 읽었다. 베를린 유학 시절 현상학 연구와 함께 소설 구토를 집필했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르 아브르와 파리에서 교편을 잡으며 철학과 문학 উভয় 분야에서 집필 활동을 했고, 1938년에는 구토를 출판하여 명성을 얻었다.[96]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징병되어 1940년포로가 되었으나, 1941년 위조된 신체 장애 증명서를 이용해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이 시기에 희곡 『벌리오나』를 썼다.[96]

2. 4. 전후 활동과 실존주의

1943년 존재와 무를 발표하여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부상했다.[105] 1945년 잡지 《현대》를 창간하여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고, 알베르 카뮈 등과 교류하며 사회 참여 활동을 펼쳤다.[106] 프랑스 공산당에 동조하며 평화 운동과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등 국제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시인 김지하가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자, 석방 호소문에 서명하는 등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도 관심을 보였다.[97]

사르트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적인 문제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다.[73] 1945년 10월, 그는 새로운 저널인 《레 탕 모데른(Les Temps modernes)》을 창간하고, 좌파에 연대하며 작가들에게 정치적 헌신을 표현할 것을 촉구했다.[74]

1948년 3월에는 제3의 정치 세력을 위해 민주 혁명 연합 준비 위원회를 결성했으나 친미화, 우익화로 내부 분열이 생겨 1949년 11월 해산되었다. 1950년대 프랑스 공산당의 노동력과 용기에 감동해 《현대》지에 프랑스 공산당에 동조하는 글을 썼으나 이로 인해 많은 동료들이 떠났다. 1960년대에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평화운동을 실천하였다.

1960년변증법적 이성 비판 제1부를 출판했고 사후에 미완결로 나올 제2부를 준비하던 사르트르는 1968년 5월 사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1967년에 이미 전쟁, 그 가운데 특히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비난하고 재판하던 증인과 운동가들, 그리고 세계 각국의 지식인의 법정을 자처한 러셀 법정(Russell-Tribunal)에 버트런드 러셀과 함께 의장으로서 나타났었다.

1968년 5월의 프랑스 5월 혁명에서 사르트르는 청년들을 향해 정치에 적극 참여할 것을 권하였다.

2. 5. 노벨 문학상 거부와 말년

1964년 10월 22일, 스웨덴 아카데미는 장폴 사르트르에게 노벨 문학상을 수여했지만, 사르트르는 "어떤 인간도 살아있는 동안 신성시되길 원치 않는다"는 이유로 수상을 거부했다.[98] 그는 같은 날 AFP의 기자 프랑수아 드 클로세에게 "나는 그것을 거절하고 당신은 그것에 관하여 쓸 수 있다"고 말하며 속내를 털어놓았다. 이틀 뒤 1964년 10월 24일, 그는 스웨덴 아카데미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거절 이유를 상세히 설명했으며, 그 본문은 프랑스 일간지 <르 몽드>와 <르 피가로>에 각각 게재되었다. 이 사실은 세계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사르트르는 1945년 레종 도뇌르 훈장과 콜레주 드 프랑스의 정교수직도 거절한 적이 있었다.[101] 그에 따르면 이러한 영광들은 작가를 제도화시키며 그의 자유를 잃게 만들기 때문이었다. 그는 후보에 올랐다는 것을 알고 미리 사퇴 서한을 노벨 위원회에 보냈지만, 서한의 도착이 늦어져 노벨상 수상 결정 후에 사퇴하게 되었다.[99]

1960년대실존주의는 침체하는 것처럼 보였고, 프랑스 문학과 지적 이념에서 사르트르의 영향은 줄어들었다. 특히 민족학자 레비스트로스, 철학자 푸코, 정신분석학자 라캉같은 구조주의자들과 대립했다. 구조주의는 실존주의와 대립했는데, 구조주의에서 인간의 자유는 좁은 자리를 차지했고, 인간 개개인은 각자의 능력을 넘어서는 구조 속에 배열되었다.

사회 구조의 필연성에 대한 자유의 우위를 주장하던 사르트르는 구조주의라는 새 흐름에 대하여 논하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는 문학 창작과 19세기 연구, 특히 플로베르의 연구에 헌신하는 것을 더 선호했다. 1971년 플로베르 평전 <집안의 천치> 1, 2권을 출판하였으나, 1973년 갑작스러운 실명으로 문학 저술을 중단했다.

1973년 2월 3일에는 베니 레비, 세르주 쥘리와 함께 좌파 일간지 「리베라시옹」을 창간했다.[102] 이 리베라시옹지는 프랑스의 주요 일간지 중 하나가 되었다. 같은 해, 그는 격렬한 발작에 시달려 여러 활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사시였던 오른쪽 눈은 3세부터 거의 실명했지만, 남은 왼쪽 눈에서 안저 출혈로 이 시기에 양쪽 눈 모두 실명한다. 그러나 빛, 사물의 형태, 색깔까지는 보인다고 1975년 인터뷰에서 말한다. 실명으로 인해 귀스타브 플로베르 연구(『집의 바보 아들』)의 완성이 불가능함을 깨닫는다. 보부아르와의 대화 녹음을 시작한다. 말년에 자력으로 집필이 불가능하게 된 사르트르는 "공동 작업"으로 몇 가지 저작을 완성하려고 하지만, 어떤 시도도 실패로 끝났다.

요독증에 걸린 사르트르는 1980년 4월 15일 만 75세에 임박한 나이로 파리 브루세 병원에서 폐수종으로 사망했다. 전 세계는 사르트르의 사망 발표로 큰 충격에 빠졌다. 1980년 4월 19일에 거행된 그의 장례식에는 5만 명의 사람들이 마지막 경의를 표하기 위해 파리의 도로를 메우며 장례 행렬을 따라갔다. 그는 파리 14구 몽파르나스 묘지 20 구에 안장되었으며, 1986년 4월 14일에 죽은 시몬 보부아르는 그의 옆에 묻혔다. 묘비에는 "Jean-Paul Sartre, 1905-1980"이라는 간결한 비명이 쓰여있다.

3. 사상

장 폴 사르트르는 소설, 수필, 연극, 철학 저서,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철학은 전후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알베르 카뮈와 함께 '참여하는 지식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05] 1941년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한 이후[105]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사르트르는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신념을 옹호했다.[106]

사르트르는 자신의 삶을 제2차 세계 대전을 기준으로 두 시기로 나누었다. 초기에는 《존재와 무》 (1943년)를 통해 존재론에 중점을 둔 이론적인 철학을 전개했다. 후기에는 《변증법적 이성 비판》 (1960년)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천적인 철학을 추구했다. 두 번째 시기의 사르트르의 작품은 어빙 고프먼과 같은 질적 연구를 중시하는 사회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38년 소설 《구토》를 출판하며 문학계에 이름을 알린 사르트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포로로 잡혔다가 1941년 석방된 후, 메를로퐁티 등과 함께 대독 저항 운동 단체를 조직했다.[105] 1943년존재와 무》를 발표하여 철학적 입지를 굳혔으며, 알베르 카뮈와 교류했다. 1945년 종전 후에는 잡지 《현대》를 창간하여 실존주의를 논하며 다양한 문필 활동을 펼쳤다.

사르트르는 문학 비평과 문학 전기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희곡들은 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대표작 《닫힌 방》에는 "지옥이란 타인이다"라는 유명한 대사가 등장한다.[81] 소설 3부작 《자유의 길》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사르트르의 사상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며, 실존주의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프로이트: 비밀의 열정》의 각본을 맡았으나, 내용이 너무 길어 영화 크레딧에서 자신의 이름을 삭제했다.[82]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르트르의 각본 내용은 영화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83]

1948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사르트르의 모든 작품을 금서 목록에 올렸다.

3. 1. 실존주의

사르트르는 프랑스 실존주의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1945년 그의 강연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는 실존주의 철학 사상의 선언문으로 여겨진다. 사르트르의 주요 철학서로는 <존재와 무> (1943)와 <변증법적 이성 비판> (1960)이 있다.[64]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와 후설의 영향 아래 자신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데카르트적 자아를 넘어 인간은 하나의 실존의 존재임을 밝히고 실존은 본질에 앞서며, 실존은 바로 주체성이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간의 의식과 자유의 구조를 밝히고 실존의 결단과 행동과 책임과 연대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라는 책에서 자신의 실존주의 사상을 설명하였다. 그는 세계 평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소련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을 담은 <유물론과 혁명>, <변증법적 이성 비판> 등을 저술했다.

<존재와 무>에서 사르트르는 존재를 즉자존재(卽自存在, être en-soi), 대자존재(對自存在, être pour-soi), 대타존재(對他存在, être pour autrui)로 구분한다. 즉자존재는 “이것이 이것인” 것이다. 예를 들어, 부동의 객체는 자연의 절대적인 방식에 의해, 미묘한 차이 없이 하나 “이다”.

사르트르는 인간은 “자유롭도록 운명 지어졌다”고 주장했다.[64] 그는 인간 존재의 우연성은 존재에 대한 정죄이며, 각자 자신의 존재를 창조할 책임이 있기에 자유로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사르트르는 종이 자르개의 예를 들어, 창조주가 있다면 종이 자르개에 대한 계획, 즉 본질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인간은 창조주가 없기 때문에 존재 이전에 본질이 없으며,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고 주장했다.[64] 인간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며, "우리는 변명 없이 혼자 남겨진다"고 강조했다.

사르트르는 진정성과 개성은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경험, 즉 "죽음에 대한 의식"을 통해 얻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65] 죽음은 우리가 자신을 위해 살지 않고 외부 세계를 위해서만 존재하는 대상이 되는 마지막 지점을 그리며, 자유롭고 개별적인 존재의 부담을 강조한다.[66] 사르트르는 비진정적인 존재 방식은 고뇌와 책임 회피를 위해 자신에게 거짓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지만, 『존재와 무』 출판 이후 하이데거는 『인간성에 관한 편지』에서 사르트르가 형이상학적 진술을 뒤집었을 뿐, 여전히 형이상학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67]

허버트 마르쿠제는 『존재와 무』에서 사르트르가 인간 존재의 역사적 조건을 존재론적 특성으로 추상화하여 불안과 무의미함을 존재 자체의 본질에 투영했다고 비판했다.[68]

사르트르는 프란츠 아들러의 현상학적 인식론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은 행동함으로써 선택하고 자신을 만든다"고 주장했다.[69] 그는 의도성이 인식뿐만 아니라 감정과 욕망에도 적용되며, 의식은 자신에 대한 비위치적 의식을 가진다고 보았다.[70] 그러나 리처드 울하임과 토마스 볼드윈은 사르트르의 지그문트 프로이트 무의식 이론 비판이 프로이트에 대한 오해에 기초한다고 주장했다.[71][72]

3. 2. 즉자존재와 대자존재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에서 존재를 즉자존재(être en-soi), 대자존재(être pour-soi), 대타존재(être pour autrui) 세 가지로 구분한다.[105]

  • 즉자존재(être en-soi)는 "이것이 이것인(est ce qu’il est)" 것이다. 예를 들어, 움직이지 않는 객체는 자연의 절대적인 방식에 의해 미묘한 차이 없이 하나 "이다(est)"[105].
  • 대자존재(être pour-soi)는 인간처럼 끊임없이 자신을 의식하며 변화하는 존재를 의미한다. 사르트르는 인간은 대자존재로서 자신의 본질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3. 3. 앙가주망 (참여)

사르트르는 지식인의 사회 참여, 즉 앙가주망(engagement)을 강조했다. 그는 지식인이 현실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사상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41년 레지스탕스에 참여한 이후[105]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사르트르는 자신에게 정의로 보이는 모든 입장을 열렬히 신봉하며 사회 운동에 참여했다.[106]

3. 4. 마르크스주의와의 관계

사르트르는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아 사회 구조와 개인의 관계를 탐구했다. 1960년변증법적 이성 비판》을 통해 실존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105] 소련스탈린주의를 비판하고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106] 1950년대 프랑스 공산당의 노동력과 용기에 감동해 <현대>지에 프랑스 공산당에 동조하는 글을 썼으나, 이로 인해 많은 동료들이 떠났다.

4. 작품 목록

장 폴 사르트르는 소설, 수필, 연극, 철학 저서, 전기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남겼다.[105] 그의 철학은 전후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알베르 카뮈와 함께 참여 지식인의 상징으로 남아있다.[106]

1941년 레지스탕스에 참여한 이후[105]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사르트르는 계속하여 세간의 화젯거리가 되었다. 그는 동시대의 투쟁에 전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에게 정의로 보이는 모든 입장을 열렬히 신봉했다.[106] 그의 삶은 제2차 세계 대전을 기준으로 두 시기로 나뉜다. 존재와 무 (1943)를 쓴 이론적 시기와 변증법적 이성 비판 (1960)을 쓴 실천적 시기로 구분된다.

1936년 단편 <벽>을 완성했고, 1938년 소설 《구토》를 출판하며 문학계에 널리 알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 포로로 잡혔으나, 1941년 가짜 증명서로 석방되어 파리로 돌아왔다. 1943년존재와 무》를 발표하여 철학적 지위를 굳혔고, 종전 후 1945년 잡지 《현대》를 창간하여 소설, 평론, 희곡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60년대에는 실존주의가 침체하고 프랑스 문학에서 사르트르의 영향력은 줄어들었으며, 구조주의와 대립했다. 1964년 스웨덴 아카데미노벨 문학상을 수여했지만, 사르트르는 "어떤 인간도 살아있는 동안 신성시되길 원치 않는다"라며 거절했다.

발자크 기념비 앞의 장 폴 사르트르와 시몽 드 보부아르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을 만나는 사르트르, 시몽 드 보부아르, 클로드 랑츠만 (1967년 2월, 카이로)

4. 1. 소설

4. 2. 희곡

1943년에 발표한 희곡 《파리떼》는 독일군 점령하에 파리에서 상연되었다.[51] 그 후 《닫힌 방》이 성공을 거두었고, 《무덤 없는 주검》, 《존경할 만한 창녀》, 《더러운 손》, 《악마와 선한 신》, 《네크라소프》, 《알토나의 유폐자들》 등의 문제작을 발표했다.[51] 알렉상드르 뒤마의 《킨》, 에우리피데스의 《트로이 여인들》을 각색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51] 사상적인 뒷받침, 고전적인 극작법의 기술, 철학자로서는 보기 드문 무대적인 감각, 시사적인 소재 등을 고루 갖추어 세계적인 성공을 얻었다.[51]

제목원제발표 연도
바리오나 또는 천둥의 아들Bariona, ou le Fils du tonnerre1940년
파리떼Les Mouches1943년
닫힌 방Huis clos1944년
존경할 만한 창녀La Putain respectueuse1946년
무덤 없는 주검Morts sans sépulture1946년
더러운 손Les Mains sales1948년
악마와 선한 신Le Diable et le Bon Dieu1951년
Kean1954년
네크라소프Nekrassov1955년
알토나의 유폐자들'Les Séquestrés dAltona''1959년
트로이 여인들Les Troyennes1965년 (에우리피데스의 원작 각색)
톱니바퀴'LEngrenage''1969년 (창작. 1946년 집필, 1948년 수정)


4. 3. 철학서

4. 4. 기타


  • 《말》 ''Les Mots'' (1964)[91]
  • 《가짜 전쟁기 수첩》 ''Carnets de la drôle de guerre - Septembre 1939-mars 1940'' (1983-1995)
  • 《카스토르에게 보낸 서한 및 기타 서한. 1, 2부》 ''Lettres au Castor et à quelques autres, tome I et II'' (1983)
  • 《지금의 희망. 1980년 대화록》 ''L'Espoir maintenant, les entretiens de 1980'' (베니 레비와 함께) (1980)
  • 《알브마를 여왕 혹은 마지막 여행자》 ''La Reine Albemarle, ou le Dernier Touriste'' (1991)
  • 《상황》 1 (1947)
  • 《상황》 2 (1948)
  • 《상황》 3 (1949)
  • 《상황》 4 (1964)
  • 《상황》 5 (1964)
  • 《상황》 6 (1964)
  • 《상황》 7 (1965)
  • 《상황》 8 (1972)
  • 《상황》 9 (1972)
  • 《상황》 10 (1976)
  • 《침묵의 공화국》 ''La République du Silence'' (1944)
  • 《보들레르》 ''Baudelaire'' (1947)
  • 《문학이란 무엇인가》 ''Qu'est-ce que la littérature ?'' (1948)
  • 《성자 주네, 베우와 순교자》 ''Saint Genet, comédien et martyr'' (1952)
  • 《집안의 천치》 ''L'Idiot de la famille'' (1971-1972) 플로베르에 관하여
  • 《상황극》 ''Un théâtre de situations'' (1973)
  • 《문예 비평》 ''Critiques littéraires''


  • 사르트르 자서전 (Sartre By Himself / Sartre par lui-mème) (1959)
  • 나의 삶에 대한 증언 & 전쟁 속 고요한 순간들 (Witness to My Life & Quiet Moments in a War / Lettres au Castor et à quelques autres) (1983)
  • 웃기는 전쟁의 수첩들 (War Diaries: Notebooks from a Phony War / Les carnets de la drole de guerre) (1984)
  • 『도해잡학 사르트르』 (에나가 쥰(永野潤) 나츠메샤(ナツメ社) 2003)
  • 『NHK텔레비전 텍스트 100분 de 명저 사르트르 실존주의란 무엇인가』 (에비사카 타케시(海老坂武) NHK출판(NHK出版) 2015)

5.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장 폴 사르트르는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김지하국가보안법 위반 및 내란선동죄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자, 사르트르는 김지하의 시 〈오적(五賊)〉 번역본을 읽고 석방 호소문에 서명했다.[107] 이는 사르트르가 한국 민주화 운동에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그의 자유와 책임 사상은 1960년대 이후 한국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과 사상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 변혁 운동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문학은 한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그의 작품이 재해석되고 공연되었다. 또한, 그는 소련공산주의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다.

5. 1. 민주화 운동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김지하국가보안법 위반 및 내란선동죄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자, 사르트르는 김지하의 시 〈오적(五賊)〉 번역본을 읽고 석방 호소문에 서명했다.[107] 이는 사르트르가 한국 민주화 운동에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그의 자유와 책임 사상은 1960년대 이후 한국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과 사상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 변혁 운동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5. 2. 문학과 예술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문학은 한국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인간의 실존적 고뇌와 사회 현실을 반영하며,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사르트르의 작품이 재해석되고 공연되었다.

분류:프랑스의 작가

분류:프랑스의 철학자

분류:실존주의 철학자

분류:무신론 철학자

분류:20세기 작가

분류:20세기 철학자

분류:노벨 문학상 수상자

분류:프랑스의 반핵 운동가

분류:프랑스의 정치 운동가

분류:프랑스의 극작가

분류:프랑스의 소설가

분류:프랑스의 수필가

분류:프랑스의 문학 평론가

분류:프랑스의 전기 작가

분류:프랑스의 정치 평론가

분류:파리 출신

분류:1905년 태어남

분류:1980년 죽음

분류: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프랑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분류:프랑스 레지스탕스

분류:냉전 관련자

분류:반스탈린주의

분류: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분류:프랑스의 공산주의자

분류:프랑스의 아나키스트

분류:페미니즘 철학자

분류:시몬 베유 상 수상자

분류:1964년 노벨상 거부자

분류: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5. 3. 철학과 사회 사상

사르트르는 프랑스 실존주의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1945년 그의 강연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는 실존주의 철학 사상의 선언문으로 여겨진다. 사르트르의 주요 철학서로는 《존재와 무》(1943)와 《변증법적 이성 비판》(1960)이 있다.

사르트르는 하이데거후설의 영향 아래에서 자신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데카르트적 자아를 넘어 인간은 하나의 실존의 존재임을 밝히고, 실존은 본질에 앞서며, 실존은 바로 주체성이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간의 의식과 자유의 구조를 밝히고 실존의 결단과 행동과 책임과 연대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라는 책에서 그의 실존주의 사상을 설명하였다. 행동적 지식인이었던 사르트르는 세계 평화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여러 발언과 평론을 하는 동시에, 소련공산주의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다. 《유물론과 혁명》, 《변증법적 이성 비판》은 이러한 그의 사상을 보여주는 저술들이다.

참조

[1] 서적 Critique of Dialectal Reason 1967
[2] 서적 The Transcendence of the Ego Routledge 2004
[3] 웹사이트 Consciousness and Intentionality http://plato.stanfor[...] 2011-09-01
[4] 웹사이트 Dictionary.com {{!}} Meanings & Definitions of English Words https://www.dictiona[...] 2024-02-18
[5] 서적 Minnen, bara minnen Address by Anders Österling, Member of the Swedish Academy. 2012-02-04
[6] 서적 The Bourgeois Virtues: Ethics for an Age of Commer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7] 서적 Twentieth Century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999-07-22
[8] 서적 Albert Schweitzer: A Biography Putnam 1975
[9] 서적 Jean-Paul Sartre Reaktion Books 2006
[10] 서적 The Imaginary: A Phenomenological Psychology of the Imagination Routledge 2004
[11] 웹사이트 Quelques Anciens Celebres https://web.archive.[...] Hattemer
[12] 서적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6
[13] 서적 Memoirs: Fifty Years of Political Reflection 1990
[14] 서적 Alexandre Kojeve. La philosophie, l'Etat, la fin de l'histoire B. Grasset 2002
[15] 서적 Sartre, Self-formation, and Masculinitie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5
[16] 서적 https://books.google[...] 1989
[17] 서적 Sartre en diable https://books.google[...] Cerf 2005
[18] 서적 Sartre: A Lif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87
[19] 웹사이트 Jean-Paul Sartre Philosopher, Social Advocate http://www.tameri.co[...] Tameri.com
[20] 뉴스 The People Magazine approach to a literary supercouple https://web.archive.[...] 2005-11-28
[21] 서적 In the Shadow of Sartre Collins (London) 1990
[22] 서적 The Tragic Finale: An Essay on the Philosophy of Jean-Paul Sartre Harper Torchbooks 1960
[23] 서적 Simone de Beauvoir: A Biography Touchstone Book 1990
[24] 서적 Jean-Paul Sartre Infobase Publishing 2009
[25] 서적 La Force de l'âge Gallimard 1960
[26] 서적 Merleau-Ponty vivant Gallimard 1964
[27] 서적 Simone de Beauvoir Psychology Press 2004
[28] 서적 Sartre Today: A Centenary Celebration https://archive.org/[...] Berghahn Books 2005
[29] 서적 Sartre, Self-formation, and Masculinities https://archive.org/[...] Berghahn Books 2005
[30] 서적 At the Existentialist Café Chatto&Windus 2016
[31] 웹사이트 Table ronde autour de "Sartre, le judaïsme et le protestantisme" : Sartre et ses contemporains" (à l'occasion de la Nuite Sartre 2013 à l'ENS) http://savoirs.ens.f[...] 2013-06-07
[32] 서적 Déportation et génocide: entre la mémoire et l'oubli https://books.google[...] Hachette 1995
[33] 서적 1967
[34] 서적 1967
[35] 웹사이트 désespérer Billancourt https://www.lemonde.[...] 2007-12-21
[36] harvnb
[37] 웹사이트 Du côté des intellectuels : Sartre et la Hongrie. https://journal.lutt[...] 2020-03-10
[38] 뉴스 Nouvel Observateur 1964-11-19
[39] 서적 Solzhenitsyn: A Soul in Exile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011-01
[40] 서적 Solzhenitsyn: A Documentary Record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71-04-17
[41] 서적 Past Imperfect: French Intellectuals, 1944–1956 New York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Khrushchev Pattern https://books.google[...] Duell, Sloan and Pearce 2020-10-02
[43] 서적 The Work of Sartre: Search for Freedom and the Challenge of History New York: Monthly Review 2012
[44] 서적 Uncivil War: Intellectuals and Identity Politics During the Decolonization of Algeri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5] 웹사이트 Remembering Che Guevara https://web.archive.[...] 2006-10-09
[46] 서적 Amazon Review of: 'The Bolivian Diary: Authorized Edition' https://archive.org/[...] Ocean Press
[47] 웹사이트 People about Che Guevara https://web.archive.[...]
[48] 비디오 미디어 Conducta Impropria 1984
[48] 비디오 미디어 Conducta Impropria – Improper Conduct (Part 8) https://www.youtube.[...] 2010-01-05
[49]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Andreas Baader http://www.marxists.[...] Marxists.org 1974-12-07
[50] 웹사이트 R.A. Forum > Sartre par lui-même (Sartre by Himself) http://raforum.info/[...] 2011-09-30
[51] 보도자료 Nobel Prize in Literature 1964 https://web.archive.[...] The Nobel Foundation
[52] 웹사이트 Nobel Prize fact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53] 뉴스 Sartres brev kom försent till Akademien http://www.svd.se/sa[...] 2015-01-02
[54] 웹사이트 Ces personnalités qui ont refusé la Légion d'honneur http://www.lefigaro.[...] 2013-01-02
[55] 웹사이트 Histoire de lettres Jean-Paul Sartre refuse le Prix Nobel en 1964 http://fondation-la-[...]
[56]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57] 뉴스 Superstar of the Mind https://query.nytime[...] 1987-06-07
[58] 서적 The Existentialists and Jean-Paul Sartre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59] 웹사이트 The last days of Jean-Paul Sartre https://www.newcrite[...] 1982-09
[60] 뉴스 Hell is other people removing your cigarette https://www.telegrap[...] 2005-03-10
[61] 웹사이트 Histoire du monde.net http://www.histoired[...]
[62] 웹사이트 Sartre's Roads to Freedom https://archive.toda[...] 2000-06-05
[63] harvnb
[63] harvnb
[63] harvnb
[64] 서적 Existentialism and Humanism
[65] 서적 Being and Nothingness
[66] 서적 Death Greenwood Press 1999
[67] 서적 Basic Writings from 'Being and Time' (1927) to 'The Task of Thinking' (1964)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1978
[68] 서적 Sartre's Existentialism NLB
[69] 학술지 The Social Thought of Jean-Paul Sartre
[70] 학술지 Some reflections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http://www.crossingd[...] 2014
[7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Freud Fontana Press
[7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Pierre Drieu la Rochelle https://tikhanovlibr[...] Gilles, Tikhanov Library
[74] 백과사전 Jean-Paul Sartre http://plato.stanfor[...] 2011-10-27
[75] 잡지 Sartre at Seventy: An Interview by Jean-Paul Sartre and Michel Contat http://www.nybooks.c[...] 1975-08-07
[76] 웹사이트 Sartre par lui-même (Sartre by Himself) https://web.archive.[...] Raforum.info 1966-09-28
[77] 서적 The Philosophy of Jean-Paul Sartre
[78] 웹사이트 The Absolute Intellectual https://web.archive.[...] Stanford University 2004-02-01
[79] 웹사이트 Can There Be a Decent Left? https://web.archive.[...] 2002-03-01
[80] 웹사이트 Frantz Fanon's Widow Speaks: Interview with Frantz Fanon's Widow Josie Fanon https://frantzfanons[...]
[81] 웹사이트 The Most Famous Thing Jean-Paul Sartre Never Said http://rickontheater[...] Blogger (Google: blogspot.com) 2010-07-09
[82] 서적 Jacques Lacan & Co: A History of Psychoanalysis in France, 1925–198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3] 웹사이트 John Huston, Freud, 1962 http://www.asharperf[...]
[84] 서적 Mémoires d'une jeune fille dérangée LGF – Livre de Poche, Balland
[85] 뉴스 Jean-Paul Sartre, Simone de Beauvoir: Bianca, leur jouet sexuel https://www.gala.fr/[...] 2023-07-14
[86] 서적 Philosophers Behaving Badly Peter Owen Publishers
[87] 웹사이트 The Persistence of the 'Lolita Syndrome' https://archive.nyti[...] 2013-05-19
[88] 웹사이트 Moi Aussi: French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Age of #MeToo https://hir.harvard.[...] 2020-05-16
[89] 웹사이트 Stand By Your Man https://www.newyorke[...] 2005-09-18
[90] 웹사이트 Jean-Paul Sartre Biography http://people.brande[...] People.brandeis.edu
[91] 웹사이트 Jean-Paul Sartre – Biographical http://nobelprize.or[...] Nobel Media AB 2019
[92] 웹사이트
[93] 웹사이트
[94] 웹사이트
[95] 서적 보부아르 여성 지식인의 탄생 평범사
[96] 뉴스 페미니즘의 기수 보부아르 탄생 100주년, 드러나는 "빛과 그림자" https://www.afpbb.co[...] AFP 2008-01-11
[97] 뉴스 카뮈에서 사르트르에게 보낸 편지 발견, 벽난로 위에서 50년 https://www.afpbb.co[...] AFPBB 2014-11-27
[98] 웹사이트 사르트르의 스웨덴 아카데미 서한 http://www.lefigaro.[...]
[99] 뉴스 사르트르의 노벨상 거절 배경, 서한이 제때 도착하지 않아 새로운 자료에서 밝혀져 https://www.afpbb.co[...] AFPBB 2015-01-05
[100] 서적 20세기 전 기록 크로닉 고단샤 1987-09-21
[101] 서적 사르트르 하쿠스이샤 문고 꾸세쥬 2006-06-10
[102] 뉴스 프랑스 주요 신문을 SNS로 재건? 기자 등이 분노 "우리는 신문이다" https://www.afpbb.co[...] AFPBB 2014-02-10
[103] 웹사이트 La maladie infantile du communisme - I. https://www.marxists[...]
[104] 서적 Dire la vérité au pouvoir : Les intellectuels en question http://atheles.org/a[...] Éditions Agone
[105] 잡지 La République du silence http://www.philomag.[...] 2007-11-01
[106] 웹인용 « La Cause du Peuple » http://www.diptyquep[...] 2019-10-06
[107] 웹사이트 사르트르의 모친은 Anne-Marie Schweitzer(1882~1969) 인데 ... http://lostacosdedon[...]
[108] 뉴스 Le cinéma de Sartre http://www.fabula.or[...] 2006-12
[109] 서적 Dictionnaire Freud Éditions Robert Laffont
[110] 웹인용 La dispute freudienne entre Sartre et Huston https://www.lemonde.[...] 2007-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